아기성장발달계산기 유아 아기 평균키 표준체중

저체중아로 태어난 우리 아기는 성장도 느려서 영유아 검진을 받을 때마다 항상 아기 키 몸무게 모두 5~10%를 넘은 적이 없었습니다(조금씩 커서 50% 겨우 따라잡고 있습니다.)가)그러므로 아기의 평균키, 아기의 표준체중이 항상 궁금해 아이의 몸무게와 키를 측정하게 되었고, 아기의 성장발달계산기로 어느 정도인지 항상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

네이버 아기성장발달계산기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아기의 키와 몸무게, 생년월일을 입력하시면 계산되어 바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네이버에 검색하면 상단에 확인이 되는데 모바일로만 컴퓨터에서는 뜨지 않았습니다.

결과는 백분위이고 값이 높을수록 또래 아이들보다 크다는 뜻으로 결론과는 5% 단위로 나옵니다.6세 울 1호는 신장 103.7cm, 19.2kg인데 키 25%, 몸무게 75%로 유아 평균 키보다 낮고 몸무게는 작은 편의 키와 몸무게 모두 5~10%였는데 울 1호가 요즘 식욕 폭발해서 체중이 어느새 75%에 달했어 ㅋㅋ 근데 키는 또 25%라서 안습이에요.백분위가 50%라면 아기의 평균키라고 생각하세요

 

네이버의 아기성장발달계산기는 아기생일기준으로 바뀌는것 같아요 예를들면 아기생일이 4월13일인경우 13일과 14일과 14일의 측정결과가 다릅니다남아의 경우는 그대로이지만, 여아의 경우는 하루 차이로 체중 백분위가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루 차이로 백분위가 바뀌는 마법 ㅋㅋㅋ (아! 측정일을 바꿀 수 없어서 생일을 바꿨으니 하루 차이로 바뀐다는 것만 봐주세요) 하지만 이건 저처럼 수시로 확인하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대부분은 모르고 지나가는 거니까 ㅋㅋ 저와 함께 하시는 분들, 하루 차이로 바뀌는 결과에 놀라지 말아달라고 언급해보죠.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F61465FB5E8E318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유아성장발달계산기를 이용하면 신장과 체중은 물론 머리 둘레와 체질량지수까지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성장상태측정기를 누르시면 바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키, 몸무게, 머리둘레, 남녀 성별과 생년월일 그리고 측정일자를 입력하고 측정을 클릭하면 4개의 그래프가 나옵니다.

그래프를 보면 빨간 선이 백분위 97% 녹색 선이 50%, 노란 선이 5%입니다.네이버가 5% 단위로 결과가 나오는 것과 달리 질병관리청은 소수점 첫 자릿수까지 나옵니다. 우리 아이의 경우 키는 22.5%, 몸무게는 69.6%로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영유아 검진 시 머리 둘레는 항상 커서 제가 측정을 따로 하지 않아서 입력해서 표시되지 않았습니다.체질량지수는 93.1퍼센트로 과체중이 되었습니다 아니, 우리 아기 몸무게 1kg을 늘리는 것이 힘들다고 항상 걱정했는데 언제 살이 많이 쪘는지 ㅎㅎ 빨리 몸무게가 늘어서 또 무섭다면서 체중관리를 해야할 것 같아요. ^^질병관리청 계산기 사이트는 아래를 클릭하시면 접속 가능합니다 ▼▼▼질병관리청 유아성장발달계산기 바로가기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참고하면 유아의 평균 신장 평균 체중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연령 기준 24개월까지는 월수별 아기의 평균 신장과 체중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만 2세부터 7세까지는 6개월 단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 2세부터는 체질량지수도 알 수 있습니다. 6세부터 만 5세 남아의 평균 신장과 체중을 확인한 결과 각각 109.6cm, 19kg! 서울 아기가 잘 자라는 또래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인지 아기의 표준 체중이나 키가 궁금할 때는 이 도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좀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싶다면 이렇게 되고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이만 실례하겠습니다.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참고하면 유아의 평균 신장 평균 체중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연령 기준 24개월까지는 월수별 아기의 평균 신장과 체중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만 2세부터 7세까지는 6개월 단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 2세부터는 체질량지수도 알 수 있습니다. 6세부터 만 5세 남아의 평균 신장과 체중을 확인한 결과 각각 109.6cm, 19kg! 서울 아기가 잘 자라는 또래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인지 아기의 표준 체중이나 키가 궁금할 때는 이 도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좀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싶다면 이렇게 되고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이만 실례하겠습니다.